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출처: 네이버 블로그(대구 환경이야기)“기업이 앞장서서 환경을 보호한다”


환경문제가 세계적 문제로 자리 잡은 이후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함께 일컫는 ‘ESG’ 흐름에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은 발 빠르게 동참했다.


아주 이상적인 이야기이다. 많은 기업들은 플라스틱 빨대를 종이 빨대로 전면 교체하거나 제품에 친환경 소재나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늘리는 방식 등 저마다의 방식으로 환경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변화를 시도했다. 그 덕분에 기업은 이미지를 향상, 혹은 개선시켰고 소비자들은 해당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만으로도 환경보호에 동참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현재 이것은 실패의 과정을 밟고 있다. 플라스틱의 무분별한 투기를 막자는 취지로 등장한 종이 빨대는 정작 종이의 원료인 나무를 베어 만드는 모순이 발생하고 재활용도 하지 못하며 심지어 내구성도 낮기에 빨대의 기능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 


‘기존보다 친환경 소재를 50% 늘렸다’는 홍보를 통해 기존보다 비싸게 판매한 제품의 실제 증가율은 전체 비율 기준 친환경 소재의 비율이 고작 2%에서 3% 증가된 것이 전부이며 “해양에서 수거한 플라스틱으로 음료 용기를 만들었다”고 홍보한 제품이 오히려 해양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쓰레기 중 하나이기도 하다.


녹색경영을 표방하는 그린워싱 기업을 위해 어째서 소비자가 희생해야 하는가. 환경보호라는 바다 속에서 몇몇 기업은 미꾸라지 역을 자처하고 있다. 소비자는 기업의 이미지를 위해 존재하는 사람들이 아닌 그들의 편의와 필요를 위해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다. 녹색, 지속 가능, 에코와 같은 단어만을 믿고 환경보호에 조금이나마 동참하려는 소비자를 속이는 기업들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소비자들은 기업의 환경보호에 대한 신뢰가 사라질지도 모른다.


또한 그것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온전히 그들에게 돌아갈 뿐만 아니라 정직하게 환경을 보호하려던 타 기업, 지구의 환경 전체에도 전가될 것이다. 기업은 일차원적인 환경보호의 이면을 항상 염두하고 고민해야 하며 그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공익을 위한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해야만 한다.


정부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난해 환경부가 적발한 그린워싱 제품 4558건 중 시정조치가 내려진 사례는 4건에 불과하다. 정부의 관대한 처벌기준은 오히려 기업의 그린워싱을 부추기는 꼴이 될 것이다. 


환경보호의 의무는 소비자, 기업, 정부 모두의 과제이다. 어느 한 쪽만 앞장선다면 나머지 두 부분은 결국 발목을 잡을 것이다. 우리는 이 점을 인지해야만 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07-25 10:00:0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