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용산어린이정원을 둘러싼 환경 논란...그 이면을 시추하다 [딥다운] - 용산어린이정원의 조성 과정에서 오염물질의 정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기사등록 2023-11-21 17:00:01
기사수정
지난 5월 개방된 용산어린이정원이 환경적인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은 채 개방되었다는 말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미래일보=최범기 대학생 기자] 

 지난 5월 개방된 용산어린이정원이 환경적인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지 않은 채 개방되었다는 말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5월 4일 정부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용산어린이정원을 개방했다. 1904년 한일의정서 체결 이후 일본군이 주둔했고, 해방 이후 미군이 주둔하며 120년간 금단의 땅이었던 용산정원 반환부지 일부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것이다.


 오랜 시간이 걸려 조국의 품으로 돌아온 땅이지만, 용산어린이정원은 개방과 동시에 논란을 겪어야 했다. 문제는 미군기지였던 땅이 정원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에 있었는데, 이때 충분한 환경 안전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용산어린이정원 

정화 작업의 부재

 토양환경보전법은 토지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가장 깨끗해야 할 1지역부터 3지역까지 기준을 정해 정화하도록 하고 있다. 1지역에는 주거지, 학교, 어린이 놀이시설 등이 해당하며, 2지역에는 창고용지, 체육용지 등이 포함된다. 3지역은 공장, 주유소, 군사시설 등을 말한다.

 

 즉 어린이 놀이시설인 용산어린이정원은 1지역, 군사시설인 용산기지는 3지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3지역에서 1지역으로의 2단계 정화가 필요한데, 용산어린이정원 조성 과정에는 이런 정화 작업이 없었다. 


 정원 측은 대신 “심한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곳은 개방에서 제외했고, 콘크리트 등으로 철저하게 포장했으며, 그 외 지역에 15cm 이상의 깨끗한 흙을 덮고 토종 잔디를 심어 안전하게 처리했다”고 밝혔다. 또 정원 측은 조성 과정에서 지속적인 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함을 확인했고, 앞으로도 촘촘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것을 약속했다.

 

오염물질의 잔재 가능성

 정원 측은 “안전함을 확인했다”고 말했지만, 이 땅에 오염물질이 남아 있을 가능성은 여전하다. 2021년 환경부(한국환경공단)와 미군이 합동으로 조사한 내용(환경조사 및 위해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용산정원 반환부지 인근에서 기준치의 36배가 넘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검출된 바 있고, 납은 5배, 비소는 3배 초과했다. 석유계총탄화수소에는 벤젠 등 발암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납과 비소는 중금속이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토양 외에 지하수에서도 오염물질이 검출된 바 있다. 2016년 환경부가 두 차례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용산기지 인근 지역 지하수에서 1차 조사 시추공 59개 중 30개, 2차 조사 54개 중 25개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이 검출됐다. 특히 벤젠의 경우 상당수 시추공에서 기준치의 500배가 넘는 양이 검출됐다. 


 BTEX(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류라고 불리는 이 네 가지 오염물질은 유독성이 강한 물질로, 피부에 묻으면 지방질을 통과해 체내에 흡수된다. 대부분 중독성이 강해 뇌와 신경에 해를 끼치는 독성물질이다.

 

환경안전조치의 유효성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권만재 교수는 정원 측이 취한 환경안전조치에 대해 “임시적인 방법은 될 수 있지만, 오염물질의 이동을 완전히 막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효과적이지는 않은 것 같다”면서도 “대신 사유지가 아닌 공공부지의 경우 정화 작업을 위해성 평가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덧붙였다. 위해성평가란 해로운 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미치는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또 권 교수는 “정부 나름대로 이 지역에 대한 환경 모니터링을 충분히 하고 있을 것이라 믿는다. 대신 그런 정보를 일반 시민들이 확인하고 안심할 수 있게 충분히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용산어린이정원 홍보관 내부 

 정원을 찾은 시민 A씨(노원구 상계동)는 “이 밑에 오염물질이 있는지 몰랐다. 모르고 온 사람이 대부분일 것”이라며 “콘크리트 등으로 덮어도 오염물질이 완전히 사라진 게 아닌 이상 믿을 수 없다. 자주는 오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정원 측과 정부는 용산 어린이정원을 정화 없이 개방한 이유에 대해 “부지를 30% 반환받는데 20년 가까이 걸렸고, 완전 반환 후 토양정화를 통해 용산공원을 정식조성하기까지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120년간 금단의 땅이었던 소중한 이곳을 하루빨리 국민께 돌려 드리고자”라고 설명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1-21 17:00:0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